내경부(內𢈴部)
백제시대의 중앙관서. # 내용
『주서(周書)』 백제국조에는 ‘내략(內掠)’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한원(翰苑)』 백제조에는 ‘내량(內椋)’으로, 『삼국사기(三國史記)』 직관지에는 ‘내경(內[广+京])’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것이든 창고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구려의 ‘부경(桴京)’에서 연원한 것으로 짐작된다.
사비시대 백제의 중앙관제는 내관 12부와 외관 10부의 모두 22개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내경부는 내관 12부의 하나이다. 원래 왕궁내의 창고업무를 담당, 왕궁소속의 창고가 궁내와 궁외에 각각 있었기에 ‘내경부 ...